으름덩굴은 한국의 황해도 이남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줄기성 낙엽식물입니다.
으름덩굴에는 바나나 모양의 열매가 열리는데 익으면 과피가 벌어지며 흰 과육은 매우 청량하고 고급스러운 단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재로서의 으름에 대한 중국 기록을 보면 으름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오엽으름[목통[木通: Akebia quinata (Thunb.) Decne]
둘째, 삼엽으름[삼엽목통[三葉木通: Akebia trifoliata (Thunb.) Koidz]
셋째, 흰꽃으름[백목통[白木通: Akebia trifoliata (Thunb.) ]
이 중 우리나라의 깊은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으름은 오엽으름입니다.
이 세가지 으름의 약성은 대동소이 하여 같은 약재로 사용합니다.
으름은 줄기, 뿌리, 열매, 씨앗, 꽃에 이르기까지 전 초를 모두 사용합니다.
줄기, 뿌리는 목통이라는 약재로, 열매는 전체를 말려서 연복자라 하여 약재로 사용합니다. 동의보감 내경편에 “연복자는 오장의 기운이 끊어진 것을 잇고 말소리가 힘있게 나오게 하는데 늘 먹어야 한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연복자는 씨앗과 열매 전체를 사용합니다. 또 씨앗은 장복하면 마음을 크게 안정시키므로 미래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하여 ”예지자“라 부릅니다.
아래는 으름 부위별 효능을 옛 의서에 발췌한 내용입니다.
.<열매>으름열매는 간기(肝氣)를 완화시키고 기의 순환을 조절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번조를 제거하고 이뇨하는 효능이 있다. 간위기통(肝胃氣痛=심와부통:心窩部痛), 위열(胃熱)로 인한 식욕 부진, 번갈(煩渴), 적백(赤白) 이질, 요통, 협통(脇痛: 늑막염), 산기(疝氣), 월경통, 자궁 하수를 치료한다.1, <최우석, 식경>: "이것을 복용하면 담수(痰水)를 없애고 적백하리를 멎게 한다."2, <맹선>: "장위(腸胃)를 두껍게 하며 식욕을 촉진하고 삼초의 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며 악기(惡氣)를 제거한다. 종자와 함께 복용하면 더욱 좋다."3, <본초습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기(氣)를 소통시키며 번열을 제거한다. 이것을 복용하면 심기(心氣)를 잘 소통시키고 지갈(止渴)하며 기를 내려가게 한다."4, <식성본초>: "위구열폐(胃口熱閉), 반위(反胃), 소화 불량을 다스리고 삼초(三焦)의 객열을 제거한다."5, <본초휘언>: "꿀물로 달여서 복용하면 금구열리(噤口熱痢)를 치료한다."6, <남경민간초약>: "요통을 치료한다."7, <사천중약지>: "간기(肝氣)가 맺힌 것을 흩어지게 하고 신기(腎氣)를 오르게 한다. 방광 산기(疝氣), 토혈을 치료한다."8, <약재학>: "기(氣)를 이롭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살충, 해독하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간위기통(肝胃氣痛), 협통(脇痛), 월경통 등의 증상에 쓰인다."9, <섬서중초약>: "간기(肝氣)가 맺힌 것을 흩어지게 하고 신(腎)을 보익하며 비(脾)를 튼튼히 하고 위(胃)를 조화시킨다. 소화 불량, 복통, 사리(瀉痢), 산기(疝氣), 자궁하추(子宮下墜)를 치료한다."<종자>1, <일화자제가본초>: "모든 풍(風)을 치료하고 오로칠상(五勞七傷)을 보하는 효능이 있다. 현벽(痃癖), 기괴(氣塊), 천행온질(天行溫疾), 중오(中惡)로 인한 실음과 탈모를 치료한다. 숙식을 제거하고 번민을 멎게 하며 소변을 이롭게 하고 최생(催生)하며 약독을 제거한다. 모든 뱀, 벌레, 누에에 물린 상처에 바를 수 있다."2, <개보본초>: "기생충을 구제하고 각종 독을 치료한다."3, <의림찬요>: "신수(腎水)를 튼튼하게 보(補)하고 노열(勞熱)을 치료하며 뱀, 벌레의 독을 제거한다."
용늪마을에서는 목통, 삼엽목통, 백목통 세 가지의 으름을 모두 재배하고 있으며
현재는 과육을 먹는 생과, 효소나 술 담금용 미숙과 으름, 으름효소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효소용 으름
효소용 으름은 크기는 충분하나 아직 단단한 미숙과를 수확하여 천연원당과 0.8:1의 비율료 담근 후 효소 숙성과정을 거쳐 판매됩니다. 원당은 효소화 과정에서 분해되어 전화당이 됩니다. 으름의 약성과 효소의 효능을 함께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으름효소는 향기가 강하지 않고 부드러워 음식조리 넣어 풍미를 더하거나 고기를 잴 때 사용하면 깊은 맛과 고기의 육질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생과용 으름
생과용 으름으로는 효능은 같으면서도 세가지 으름 가운데 달콤한 맛과 크기 등에서 으뜸인 삼엽으름과 흰꽃이 피는 백화으름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중 삼엽으름은 익은 후에도 과피가 잘 벌어지지 않아 장기 저장이 가능하므로 시장출하가 가능한 유일한 품종입니다. 가장 작은 오엽으름은 생과로서의 상품성은 적지만 주문차께서 요청하는 경우 판매하고 있습니다.
분말용 으름
으름의 부위중 가장 효능이 줗은 부위는 씨앗, 껍질, 과육 순입니다.
그러므로 이들 모든 부위의 효능을 완전히 얻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으름열매 전체를 먹는 것입니다. 으름 분말은 으름 열매 전체를 저온 건조 후 곱게 갈아 제품화 한 것입니다.
분말용 으름은 세 가지 으름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합니다.